안녕하세요 맘쌤여니쌤입니다.🤗
아무리 훈육을 해도 보란 듯이 같은 행동을 반복하는 아이를 보면 속상하고 답답한 마음이 드는 것이 부모의 마음입니다. 100번, 1000번을 말해도 변화가 없는 아이를 보면, 정말 내 방법이 잘못된 건 아닐지 고민이 되곤 하죠. 하지만 아이의 행동이 바뀌지 않을 때는 오히려 부모의 훈육 방법을 체크해 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오늘은 아무리 훈육을 해도 아이 행동이 변화하지 않을 때 반드시 점검해 보아야 하는 세 가지를 구체적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아이와 함께 보다 수월하고 편안한 육아 생활을 하고 싶다면 지금부터 알려드리는 내용을 꼼꼼히 체크해 보세요!
1. 너무 많은 행동을 제한하고 있지는 않나요?
아이를 제대로 키우기 위해 부모는 한계를 설정하고, 규칙을 정합니다. 하지만 이 한계가 너무 많고 좁으면 아이는 제지당하는 경험이 많아지고, 결국 울음과 떼쓰기로 자신의 욕구를 표현할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혼자 옷 입기를 원하거나, 스스로 물을 따르고 싶어 하는 행동을 '번거롭다', '지저분해진다' 등의 이유로 계속 제한하면 아이는 스스로 무언가를 배우고 경험할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결국 아이가 바라는 욕구는 울음과 떼쓰기로 표현될 수밖에 없고, 부모는 이런 아이의 행동을 보고 또다시 훈육을 하게 되는 악순환이 계속됩니다. 아이의 나이와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충분히 허용할 수 있는 행동까지 제한하고 있지는 않은지 다시 한번 체크해 보세요.
2. 훈육을 하다가 중간에 포기해 버리지는 않나요?
아이를 키우다 보면 부모도 지치고 힘들 때가 많습니다. 아이가 크게 울거나 떼쓰는 상황에서 훈육을 하다 지쳐서 중간에 포기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죠. 하지만 훈육 도중 중간에 포기하는 행동은 매우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합니다.
아이는 '훈육을 받다가 크게 울고 떼쓰면 결국 훈육이 중단된다'라고 잘못된 학습을 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다음 훈육에서도 더 큰 떼쓰기를 반복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만약 감정이 격하게 올라와 훈육을 이어가기 어렵다면, 다음과 같이 상황을 설명하고 잠시 멈추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 네가 하는 행동은 하면 안 되는 행동이야. 엄마가 너무 화가 나서 잠시 쉬었다가 다시 얘기할게."
이렇게 아이에게 솔직히 이야기해 준 후 잠시 감정을 다스린 뒤 훈육을 재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절대 중간에 그냥 포기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3. 일관성 있게 훈육을 하고 있나요?
아이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일관성’입니다. 오늘은 허용하고, 내일은 허용하지 않는 훈육 방식은 아이 입장에서 혼란을 가져옵니다.
부모의 컨디션이나 상황에 따라 기준이 바뀌게 되면 아이는 그 기준을 이해할 수 없고, 결국 아이가 할 수 있는 행동은 울고 떼쓰는 것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는 항상 같은 기준으로 아이에게 반응해야 합니다.
만약 정말 상황이 좋지 않아 허용할 수 없다면 솔직히 상황을 설명해 주세요.
"엄마가 오늘은 몸이 많이 아파서 못해 줄 것 같아. 미안하지만 내일 아빠랑 해보자."
아이에게 정확히 상황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장은 아이가 이해하지 못하고 떼를 쓰더라도, 장기적으로는 부모의 일관성 있는 행동과 솔직한 설명을 통해 아이의 이해력과 기다리는 힘이 발달하게 됩니다.
꾸준히가 중요해요.
육아는 절대로 하루아침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부모가 제공하는 훈육의 입력값이 바로 다음 날 출력값으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 조금씩 꾸준히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부모의 인내와 일관성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아이가 하루하루 조금씩이라도 변화를 보인다면, 부모로서 충분히 잘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효능감을 가지고 육아 생활을 있어가시길 바랍니다.
오늘 소개해 드린 세 가지 사항을 잘 점검하여 아이와 함께 더 편안하고 행복한 육아 생활을 만들어 가세요!
훈육 이후 매일 저녁 아이의 자는 얼굴을 바라보며 미안해라는 말 사실 생각하면 속상합니다.
육아는 하루의 마무리도 중요해요. 하루의 마무리 어떻게하면 좋을지 만나보세요
'부모 육아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나라에서 공짜로 해주는 임신, 출산, 산모 신생아 혜택 총정리 (5) | 2025.07.02 |
---|---|
익숙한 친구만 찾는 아이의 사회성 발달 가이드 (1) | 2025.07.02 |
집에서 실천하는 메타인지 교육법 l 영유아, 부모교육, 놀이법 l 2025 육아 트렌드 (3) | 2025.07.01 |
모기 극성 시즌, 아이 물렸을 때 대처법 (모기물림, 아이피부, 모기약) (3) | 2025.07.01 |
맞벌이 부모 퇴근 후 육아, 지치지 않는 법 (놀이시간, 양육법, 스트레스 관리) (1) | 2025.07.01 |